본문 바로가기

찾아라!조선왕릉/태정태세문단세

헌릉(태종) 방문기

728x90
 

조선왕릉 기초상식 알고가기

안녕하십니까! 재나무입니다. 제가 요새 찾아라!조선왕릉 카테고리를 만들어서 열심히 포스팅하고 있죠? 하지만 제가 모든 글에 하나하나 설명을 할 수가 없습니다.ㅠㅠ 그게 이 글의 탄생 이유

tomorrow-tomorrow.tistory.com

넵! 내일이입니다! 하......제가 코로나에 걸렸었는데요! 진짜 글 하나 안올렸네요. 하핳 일단 오늘은 옛날에 갔는데 여태 안올린 건원릉 답사를 주제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건원릉 관련 내용은 적으니 그것만 원하신다면....어쩌라구요!^^ 안녕하세요! 재나무입니다. 참고로 다크모드는 끄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제가 건원릉에 이어서 헌릉에 다녀왔습니다. 헌릉은 태종의 릉입니다.
자, 지난 건원릉(태조의 릉) 방문기를 읽으신 분이라면 의문점이 하나 생길겁니다. 바로 정종을 넘어갔다는 겁니다. 넘어간 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정종의 릉은 이북에 있다는 겁니다. 한번 짧은 만화를 하나 그려보겠습니다.

북한가는 과정

대충 이렇게 되겠네요. 제가 목숨을 희생하고 다녀올 필요는 없으니까 검색하시면 되겠습니다.

모르겠고, 지금부터 헌릉에 대해서 포스팅하죠.
헌릉의 위치는 조금 그렇습니다. 왜냐하면 바로 옆에 국정원이 있기 때문이죠. 이렇게 안해도 아까 다크모드라면 끄라고 얘기했는데도  다크모드를 해놓으셨으면 아무 의미가 없을것같은데. 그러든말든간에 그게 중요한게 아닙니다! 왜냐! 오늘의 주제는 헌릉이기 때문입니다~ㅋㅋ
제가 팩트체크를 할 게 있는데 지난 글에 있는 '건원릉 방문기'에서 "고종은 조선의 모든 왕릉에 비석을 세웠는데....." 대충이렇게 설명을 했습니다만 팩트가 아니었습니다...... 제생각으론 몇몇 왕릉에만 한 것 같고, 여기에는 없었다는게 중요한 사실입니다. 조금 아쉽네요. 
일단 이렇게 밑밥을 까면 안갔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제가 그래서 인증샷 올리겠습니다ㅏ

진짜 간 거 맞습니다. 근데 9월 4일 실환가 1개월 더됐네ㅋㅋㅋ

qr코드에 낙서한 이유는 핸드폰에 문서캡처로 찍는데 qr이 먼저 작동해서 해논겁니다. 핸드폰이 많이 발전했네요. QR캡쳐도 되고 문서만 캡쳐도 되고........iphone은 이런기능 있는진 모르겠다만 핸드폰은 삼성이지(재나무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ㅋㅋ)
또 선을 넘고 딴소리를 했네요. 죄송합니다. 그럼 진짜 오늘은 간단하게 정리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입장료


일단 입장료는 만 25세부터 만 64세까지 적용이고 입장료는 천원입니다. 그 이상이거나 그 이하면 적용 안됩니다.

적용대상 개인 10인이상 단체
만 25세 ~ 만 64세 1000원 800원

 

매표시간

 

매표시간은 동구릉과 비교하면 늦게 시작해서 일찍 끝납니다. 아주 날먹이군요. 참고로 관람시간은 따로 있으니 관람시간만 필요하시다면 아래로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매표시간은 2월에서 5월까지. 그리고 9월과 10월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6월에서 8월까지는 오전 9시에서 오후 5시 30분까지, 11월부터 1월까지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입니다.

기간 매표시간
2,3,4,5,9,10월 9시~17시
6,7,8월 9시~17시 30분
11,12,1월 9시~16시 30분

 

관람시간
관람시간도 매표시간처럼 아주 날먹입니다. 저도 나중에 저런곳에 다니면 돈벌기 참 쉽겠네요. 가만히 앉아서 표나 주고 편하게 집에 가다니......일단 모르겠고요, 관람시간은.....

기간 관람시간
2,3,4,5,9,10월 9시~18시
6,7,8월 9시~18시 30분
11,12,1월 9시~17시 30분

대충 끝나는 시간은 매표시간 +1시간인가보네요. 1시간이면 충분합니다.

 

꿀팁

제가 지난 글(건원릉 방문기)에서 말했던것같기도 하고 아닌것같기도 한데 될수있으면 여름과 가을은 피하시는 게 좋습니다.
여름은 쪄죽고요, 가을은 (주위에 나무가 하나도 없어서 그런가 그늘이 없기 때문에)햇빛이 강타해서 튀겨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사실 봄 아니면 겨울이 최고입니다. 지금은 가을이지만 저는 헌릉을 여름에 가서 비가 왔습니다(?) 그때 태풍 힌남노 오신다고 해서 비가 왔었고요(가고 2일 뒤 힌남노가 왔었던 것 같습니다. 아님 말고요)..
하필 태풍와서 묘 위에 천막(?) 씌워서 볼 게 없습니다. 참고하세요.!(그대신 비 ASMR이 있습니다)

 

위치

 

 

서초구 내곡동에 있고요, 근처엔 아까 말했듯 정보수집하는곳(?)이 있고요, 바로 옆에는 인릉(순조.23대)이 있습니다. 

 

태종

 

일단 쓸데없는소리 했으니 이제 본론으로 가보겠습니다.
헌릉은 태종의 능입니다. 

태종은 태조의 다섯째 아들입니다. 
아버지를 도와 조선의 건국에 큰 공을 세웠고 1392년 정안군으로 봉해졌습니다. 그러나 이복동생의 세자책봉 등에 불만을 품고 왕자의 난을 일으켰으며 이후 반대세력을 제거하고 1400년에 왕위에 올랐습니다.
재위기간 동안 중앙 국정체제와 지방제도, 군사제도, 토지 조세제도 등 사회 전반의 체제를 정비하여 중앙집권과 왕권을 크게 강화시켰습니다.
1418년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후 태상왕(太上王)으로 생활하다 세종 4년인 1422년 56세의 나이로 세상과 작별했습니다.

릉 구조
헌릉은 쌍릉입니다. 쌍릉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이전글인 건원릉 방문기를 참고해주세요.

헌릉

네, 이곳이 헌릉입니다. 
보시다시피 왼쪽에 산책길이 있습니다. 산책길이 아니라 헌릉으로 오는 길이긴 합니다. 무조건 인릉을 지나서 와야 합니다. 그래서 그 '산책길'로 걸어오시면 숲과 화장실냄새를 동시에 맡을 수 있습니다. 정말 놀랍죠?
그건 그렇다 치고 오시면 저렇게 홍살문이 보입니다. 홍살문 뒤로 길이 보이고 그 뒤로 정자각이 보이고 그 뒤로 비석이 보이고 그 뒤로 언덕이 보이고 그 뒤로 힌남노때문에 덮여진 헌릉이 보이네요.
아주 랩을 했습니다. 이걸 말로 했으면 한호흡챌린지가 될 수 있었겠네요.
계속 딴소리하네요. 일단 저 길을 따라 가시면 헌릉의 정자각이 보입니다. 
정자각이 바로 절하고 하는 곳..... 쨌든...... 제사지내는 곳입니다. 그럼 바로 정자각을 알아보시죠.

바로 앞에 있는 건물이 헌릉의 정자각입니다. 아주 멋지네요.
저는 멋진지 어떤지는 대충 얘기하고 판단은 여러분에게 맏깁니다.
한마디로 표현을 겁나 못한다 이소립니다. 제가 요새 열심히 읽고 있는 책인 나의문화유산답사기에는 아주 이런 것들을 맛깔나게(?) 하던데 저는 못하겠습니다. 엉엉..... 그냥 정보만 주겠습니다. 

그럼 정자각 안에는 무엇이 있는지 봅시다.

 

네, 말 그대로 제사지내는 곳이죠. 안에는 복원을 이따구(?)로 해서 별로네요. 밖에서 보면 뭐.....좋은데말입니다. 
이상하게 말하자면 올드하면서도 아몰라C

그리고 이 정자각에는 조선의 과학이 숨어있습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면 창문같은게 있죠? 그게 왜 있냐면요.....

겁나 어둡다

보시다시피 이렇게 절을 하면 능이 보인답니다. 아까의 그 사진에서는 능이 안보이죠.
이게 과학입니다. 과학의 대표적인 것은 침ㄷ
죄송합니다. 어쨌든 이렇게 조선의 과학을 엿볼 수 있네요. 

자, 그러면 한번 빗소리를 들어볼까요?

 

분량 맞추다보니 10초짜리가 되었습니다...... 원래 1분인데..ㅋㅋㅋ 그래도 듣기 힘든 곳에서 찍은 영상이니까 계속 합쳐서 유튜브에 올리셔도 됩니다(?)
올릴 사람이 없긴 하긴 합니다만. 근데 너무 아쉬운게요, 아까도 말했듯이 릉이 덮여있습니다. 이놈의 힌남노........
운이 없네요. 엉엉... 모르겠고, 이번에는 비석인 신도비를 봅시다.

이게 바로 신도비입니다.
이곳 말고도 예를 들어서 건원릉 같은 곳에있는 신도비를 보시면 구멍같은 게 있습니다. 그게 바로 한국전쟁, 즉 6.25전쟁때 박힌 총자국이라고 합니다. 아무리 그래도 문화유산인데 조심 좀 하지..... 뭐 내 목숨이 달린 거니까 저였어도 능에서 총들고 싸웠을 것 같네요. 
그게 중요한 게 아니고요, 이 신도비는 말입니다~
태종 이방원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1423년에 세운 것이고요, 귀부(비석 밑에 있는 뭔가 파인 돌)은 전쟁(임진왜란)으로 훼손되었으나 머릿돌은 보존이 되어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저 파인 돌(귀부)가 바로 거북이입니다.ㅋㅋㅋㅋㅋ 놀랍죠. 너무 훼손되서 숙종 때 다시만든 비석이 옆에 있습니다. 저 사진에서도 조금 보이시죠. 바로 ~~~~

 

저겁니다. 확실히 저게 거북이라는 걸 알 수 있죠. 우리가 알고 있는 거북이는 귀여운 편인데
저 거북이는 무섭게 생겼네요. 그리고 육식거북이인가 이빨이 있네요(?) 거북이는 이빨이 없는걸로 알고 있었는데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시죠---

 

네~ 지금까지 다 본거 같죠? 하지만 하나 남았습니다. 바로 진짜 헌릉입니다. 그럼 바로 보시죠!

 

헌릉

내바!

728x90

'찾아라!조선왕릉 > 태정태세문단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릉(세조) 답사기  (2) 2023.01.24
장릉(단종) 방문기  (2) 2023.01.21
현릉(문종) 방문기  (0) 2023.01.16
영릉(세종) 방문기  (2) 2022.12.03
건원릉(태조) 방문기  (5) 2022.08.21